유치면 기초생활거점조성사업 문화복지프로그램 배후마을지원사업 문학교실 참여자 모집 공고
본문
유치면 기초생활거점조성사업 문화복지프로그램 배후마을지원사업
문학교실 참여자 모집 공고
장흥군으로부터 위탁받아 장흥군농어촌신활력센터에서 실시하는 유치면 기초생활거점조성사업 일환으로 문화복지프로그램 배후마을지원사업 『문학교실』을 실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모집합니다.
1. 사 업 명: 유치면기초생활거점조성사업 문화복지프로그램 배후마을지원사업 『문학교실』
2. 모집기간: 2025. 2. 3.(월) ∼ 2. 28.(금) 17:00까지
3. 교육기간: 2025. 3. 8. ~ 2025. 5. 24.(총 12회차 2시간 교육) 매주 토요일 14:00 ~ 16:00
4. 교육내용: 지역민의 글쓰기에 관한 관심도를 증진 시키며 다양한 문학(영화감상문, 시, 독후감, 에세이 등)의 표현방법을 습득
5. 교육장소: 유치종합복지회관 2층(전남 장흥군 유치면 원등길 10)
6. 모집대상: 유치면민 15명 내외
※우선순위: 배후마을 지역주민
7. 교육세부내용
1강 | 글쓰기 준비 운동 | 글쓰기 첫걸음, 두려움을 없애자 |
짧고 쉬운 글부터 시작해 보자 | -도서관(책)과 친해지기 -다독, 다작, 다상량의 함정 조심하기 -낫 놓고 ㄱ자 알기 | |
2강 | 무엇을 쓸 것인가? | -완벽한 글은 없다 |
상상은 거짓말인가? | -글은 왜 쓰는가? -흥미로운 테마 설정하기 -주변에서 글감 모으기 | |
3강 | 어떻게 쓸 것인가? - 문단 | -구체와 추상의 이해 |
글의 균형을 잡자 | -글의 생명인 문단 이해하기 -중심과 뒷받침 알아보기 -공간과 시간 나누기 | |
4강 | 어떻게 쓸 것인가? - 문장 | -마침표를 찍어라 |
내 문장을 만들어 보자 | -홑문장과 겹문장 정복하기 -띄어쓰기 잡고 늘어지기 -상투성 미워하기 | |
5강 |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 | -까짓 수식어 마음껏 써라 |
연애하려면 맞춤법을 익히자 | -반복을 배신하고 다시 반복과 사귀기 -유의어와 사랑에 빠지기 -은유라는 그네 타기 | |
6강 | 어떻게 꾸밀 것인가? | -낯설게 하기라는 마법 |
뻔한 표현은 질색이야 | -색다른 비유 만들기 -유머와 위트라는 무기 -개성과 감성의 독창성 | |
7강 |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 | -감정의 강약 조절 |
감각과 변주의 미학 | -효과적인 강조과 대비 -문장의 리듬감 살리기 -짧은 문장, 강한 환기 | |
8강 | 어떻게 고칠 것인가? | -내 글 객관적으로 보기 |
글을 빛나게 하는 마지막 터치 | -소리 내어 읽으며 다듬기 -정보화 도구 활용하기 -포털과 사랑에 빠지기 | |
9강 | 쫄지 말고 써보자 1 | -제목부터 마무리까지 |
글쓰기 배운 만큼 써먹자 | -흥미라는 미끼 던지기 -SNS 글 써보기 -생활 글 써보기 | |
10강 | 쫄지 말고 써보자 2 | -솔직함이 답이다 |
일상에서 발견하는 삶의 의미 | -순간과 관찰의 미학 -평범한 경험 특별하게 쓰기 -나만의 에세이 완성하기 | |
11강 | 쫄지 말고 써보자 3 | -보고 읽고 느끼기 |
타인의 작품을 내 것으로 | -공감하는 글쓰기 -글을 통해 세상과 연결되기 -나만의 영화감상, 독후감 완성하기 | |
12강 | 쫄지 말고 써보자 4 | -꾸준하게 쓰기, 또 쓰기 |
계속 쓰는 것이 답이다 | -글 쓰는 습관 만들기 -나만의 이야기 풀어내기 -일단 쓰고 뭐든 쓰고 마구 쓰기 |
* 구체적인 수업내용은 현장 상황과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이론 위주의 강의를 지양하고, 피드백을 통한 실전 글쓰기 중심으로 훈련한다.
●일상(업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글감을 찾아 실제 문장 만들기 위주로 연습한다.
- 에세이, 독후감, 영화감상, 블로그, SNS, 보고서 등
●참여자들의 미션을 통해 통합된 결과물을 만들어 본다. (소책자, 신문 등)
8. 신청방법(당일 마감일 도착분에 한함)
가. 방문접수: 장흥군농어촌신활력센터(장흥읍 장흥로 27, 2층)
나. 메일주소: maeuljh@naver.com
위에 [유치면 기초생활거점조성사업 문학교실 모집 공고. hwp] 파일에서 신청서를 다운로드 받아 작성 후 접수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