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 옹암마을
본문


일반현황
■ 옹암마을은 장흥군 최남단에 위치한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바닷가 어촌마을로 지형이 항아리와 같이 생겼고 바위가 마을 주변을 둘러싸고 있어 독바우, 옹암(甕岩)이라고 불리게 됨
■ 고려말기에 한양에서 한양조씨가 벼슬을 하다가 완도군 고금면에 귀양을 오게되어 이곳에 거주하자 설기되었다고 하며, 탐진최씨를 비롯한 여러 성씨가 입주하여 성촌함
■ 과거엔 뱃길로 완도·강진·고흥으로 닿아 있는 교통요지인 데다 물산이 넘쳐나 독립투사들이 많이 드나들고 군자금 확보도 이루어지곤 했음
■ 옹암마을은 농토가 없어 마을주민의 99%가 어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김, 미력, 매생이, 다시마, 문어, 낙지, 장어 등을 통해 경제활동을 하고 있음
■ 옹암어촌계는 귀어인을 위해 타 어촌계보다 적은 비용으로 어촌계에 가입할 수 있는 강점이 있어 마을에 귀어 인구가 10세대 있음
■ 정월대보름에 당산나무 앞에서 용왕제의 형태로 당산제를 지내 배의 무사고와 풍어, 마을의 평안을 기원함
■ 옹암마을과 인접한 신리 해변에는 동신·서신·이신마을이 주관하는 매생이권역의 개매기 축제가 열리며, 무산 김과 매생이가 유명함
■ 과거 170세대 이상이 거주했었으나 인구가 줄어듦에 따라 옹암분교가 폐교되었으며, 현재는 부지에 옹암어촌체험학습장이 조성되어 관광자원으로 활용되고 있음
■ 마을에 매생이 공동작업장이 있고 마을주민 약 40여 가구가 매생이 양식업에 종사하고 있음
문화자원현황
분류 |
주제 |
자원현황 |
문화 |
영화, 영상 |
- |
축제, 행사 |
개매기축제, 당산제 |
|
예술(음악, 문학, 미술) |
- |
|
모임 |
어촌계, 청년회, 노인회, 부녀회, 마을법인(찰매생이영농조합법인) |
|
종교 |
대덕은평교회 |
|
장소 |
집 |
바닷가 쪽으로 주택가가 형성되어 있음, 빈집 5호 |
풍경 |
바다와 인접해 마을 앞은 바다와 갯벌, 뒤편은 산림(깃대봉) |
|
길 |
바닷가와 인접한 해안도로, 깃대봉 등산로 |
|
이색공간 |
옹암어촌체험학습장(구.옹암분교), 500년된 보호수와 마을정자, 제각, 옹암청년회관, 옹암여자경로당 |
|
기관 |
완도해양경찰서 옹암출장소 |
|
생활 |
건강, 의료 |
대덕읍소재지 의료시설 이용 |
교육 |
대덕초(11.7km), 대덕중(11.1km), 한국말산업고(9.9km) |
|
교통 |
옹암항, 군내버스 1일 4회 운영 |
|
시장, 상권 |
옹암매생이작업장, 대덕상설시장(10.4km) |
|
인물 |
주민 |
- |
유명인, 연구자, 학자 |
철학박사(김의한), 공학박사(황경정, 한성재) |
|
예술가 |
- |
|
기타 인적자원 |
- |
|
역사 |
문화재 |
- |
변화 |
- |
|
사건 |
2010년도 개매기(매생이)권역사업 추진 |
대표자원
구분 | 관련사진 | 주요내용 |
매생이양식장 | ![]() |
장흥 매생이는 11월~3월까지 생산되며 부드러운 식감과 깊은 향으로 전국 최고의 품질을 자랑함, 매년 서리가 내릴때쯤 바닷가 자갈밭에서 매생이 씨를 받은 뒤, 갯벌 말뚝에 씨가 매달린 대나무 발을 넓게 펼쳐, 겨우내 바닷물이 들고 빠지면서 숙성되어 맛 좋은 매생이가 나옴, 매생이는 겨울동안 세 차례에 걸쳐 채취 가능함 |
옹암어촌 체험학습 | ![]() |
옹암어촌체험학습장은 2013년도에 옹암분교 부지에 세워진 곳으로 체험장 바로 앞에 오염이 되지 않은 넓은 갯벌이 펼쳐져 있어 갯벌체험과 개매기체험, 통발낚시 체험을 할 수 있음. |
깃대봉 등산로 | ![]() |
옹암마을은 깃대봉(172.5m) 산자락에 집들이 다닥다닥 붙어있는 형태로 마치 바람에 나부끼는 깃대를 끌어안은 형상임. 마을 뒷산으로 불리는 깃대봉은 옹암어촌체험마을에서부터 마을 안길로 이어지는 등산로를 가지고 있음 |
마을 주요시설
![]() |
![]() |
옹암마을회관 | 옹암어촌체험학습장 |
![]() |
![]() |
완도해양경찰서 옹암출장소 | 옹암청년회관 |
![]() |
![]() |
옹암여자경로당 | 옹암매생이작업장 |
![]() |
![]() |
마을보호수와 정자 | 바닷가쪽 정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