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정보

[안양] 수양마을

본문


일반현황

■ 수양마을은 마을 양 옆 산 형세와 마을 앞 도로가 마치 활 형국이라 함
■ 원래 수대폭포물이 마을 서에서 동으로 흐른다는 수서마을과 양사당이란 서당이 있는 양사마을이 합해져서 붙여진 이름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수양리라 함
■ 그중 양사가 가장 오래된 곳으로 1530년대에 청주김씨가 처음 정착하였다고 하며, 그 후 1632년대에 김해김씨가 이주하였고 서기 1715년에 수원백씨가 이거해 정착함으로써 성촌됨
■ 마을 앞에는 장흥~회진 간 23번 국도(장흥대로)가 있으며 마을 뒤로는 억불산이 병풍처럼 감싸고 지류 수대천이 사자산의 지류 도곡천과 합류하여 홍거천으로 이어저 주변 평야를 관수함
■ 전형적인 배산임수라서 물이 많고 삼거리라 교통편이 좋으며 마을이 산 밑으로 길쭉하게 자리하고 있음
■ 벼농사, 고추, 감자, 쪽파를 주고 재배하고 있으며 표고버섯이 마을 특산품이라고 함
■ 수양마을개발위원회는 협의회 역할까지 수행하며, 영농법인은 마을 재산을 명의로 하여 형성되었다고 함(억불산 10만 평, 농토 14마지기로 280만원씩 고정수입이 있음)
■ 1894년 음력 12월 16일 동학농민혁명에 관군이 이웃마을 모령에 동학군이 많이 있었는데 양사리를 모령으로 착각하여 마을에서 대학살을 벌여 음력 12월 15일 마을 내 제사가 11분이나 있음
 

문화자원현황

분류

주제

자원현황

문화

영화, 영상

-

축제, 행사

마을행사(유두, 초복, 말복 등)

예술(음악, 문학, 미술)

-

모임

부녀회(15명), 노인회(15명), 개발위원회(7명), 수양마을영농법인

종교

안양성결교회

장소

-

풍경

억불산, 보호수(200년된 은행나무), 홍거천

-

이색공간

용샘, 통샘, 암돔샘, 수대폭포, 연대봉과 절터

기관

-

생활

건강, 의료

-

교육

안양서초등학교 폐교로 안양초등학교 진학,

중·고등학교는 장흥읍 소재 학교로 진학

교통

마을경유 버스노선 5개, 마을 운행횟수 왕복 10회

시장, 상권

안양장 폐쇄 이후, 장흥읍(4km)시장상권 이용

인물

주민

변상호, 백순근, 김경순, 김규연(효자, 효부로 표창)

유명인, 연구자, 학자

기봉 백광홍, 삼당시인 옥봉 백광훈, 백형흔(대통령 표창)

예술가

-

기타 인적자원

변정수(대법관), 백형구(검사), 변지수(전남대 산부인과 퇴임)

역사

역사·문화

김해김씨 사현사, 수서 주변에 10여기의 고인돌,

억불산 유적(봉화대, 이름있는 바위와 동굴)

변화

-

사건

1894년 (음)12월 16일 동학농민전쟁에 대학살이 일어남


대표자원

구분 관련사진 주요내용
김해김씨 사현사 05_c_01_01.jpg

- 수양리 96-2번지 소재, 1846년 김효좌, 고의진, 기용현 등 전라도 사림들이 제발하여 축은 김방려, 퇴은 김계희, 담헌 김극검, 절옹 김혼 등 학덕과 충효절의를 기리고자 후손 김석률, 김석중의 주도와 장흥 사림 이학량(1770~1845), 순천 유생 정환묵 등의 성력으로 3칸 사우를 창건하고 4현의 위패를 봉안함


마을 주요시설

05_c_02_01.jpg 05_c_02_02.jpg
다예원 마을회관
05_c_02_03.jpg 05_c_02_04.jpg
당산나무 우물
05_c_02_05.jpg 05_c_02_06.jpg
수양마을영농조합법인 장흥버섯종균분양센터
05_c_02_07.jpg 05_c_02_08.jpg
안양성결교회 홍거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