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동] 조양2구 (양곡마을)
본문


일반현황
■ 장동면은 백제 때 보성에 속하였으나 995년(고려 성종 14) 장택현에 속하였다가 1914년 용계면의 일부인 만년, 하산, 용곡 등 3개리와 보성의 모령 일부를 합하여 장동면이 되어 지금에 이름
■ 조양리는 양지바른 들이 있고 햇빛이 좋다 하여 붙게 된 지명이며, 양곡마을은 이름을 떨친다는 뜻으로 ‘드랫골’, ‘양곡(揚谷)’, ‘골안(內揚理)’이라고도 불리웠으며, 양지바른 곳이라 하여 양곡으로 정하였다고 함
■ 장흥읍에서 동서쪽으로 약 19km, 면소재지에서 동서쪽으로 약 3km의 거리에 위치하는 해발 약 130m의 중산간 마을임
■ 약 1,000년경 하평윤씨가 주거지를 찾아서 안주하고자 다니던 중, 들이 넓고 물이 좋아 농사짓기에 편리하여 정착하였다는 구전이 있음
■ 청주안씨가 거주하였다고 하나 확실한 것은 알 수 없고 약 1,300년 경 정씨가 골안에 들어와 거주하였음
■ 사방이 야산으로 둘러싸인 골짜기 마을로써 원동리로 넘어가는 재와 보성읍 대하리의 수미재로 넘어가는 양곡재가 있으며, 일제 때 축조한 저수지를 소유하고 있어 농사짓기에 편리하고 시설원예로 농외소득을 올림
■ 마을에서는 친환경 벼, 콩, 고추, 절임배추, 한우(100두) 등으로 경제활동을 하고 있으며, 마을을 둘러싼 야산에서 고사리, 취나물, 엄나무, 개복숭아, 돌배 등 풍부한 임산물로 원물 및 식품을 만들어 판매하고 있음
■ 장흥읍에 비해 기온이 4℃ 낮으며, 골안이라 바람이 많이 불고 일교차가 커 작물의 당도가 높은 편임
■ 마을의 풍수지리는 지렁이 형국이며, 마을에 천석군이 있었으나 탁발을 나온 스님을 홀대하여 망했다고 하는데 지금도 마을 곳곳에서 기와 파편이 출토되고 있다고 함
■ 양곡마을은 11만 톤의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양곡저수지 제방 전면 재축조 및 확장을 통해 농민의 근심 해소와 저수지 부근을 활용한 3km의 산책길 조성, 농촌체험프로그램 등을 운영하여 농가소득 증대를 계획하고 있음
■ 농촌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 마을 내 협동조합인 ‘서까골 미리내’를 설립(2020년 4월 30일)함
■ 공예체험프로그램과 임산물 가공즙 등을 통해 지역공동체와 사회적경제기업의 활성화를 위한 행정안전부의 ‘마을공방육성공모사업’에 선정됨
■ 마을 내 천연비누제조강사, 숲 해설사, 농촌체험지도자, 목공예가 등이 있고, 귀농한 가구가 총 7세대, 주민 55명 중 어린이가 8명이 있는 등 주민 인적자원이 풍부함
■ 1960년까지 외등과 골안에 서당이 있었는데 외등서당에서는 정해관씨가 훈장을 맡아 학동을 가르침
문화자원현황
분류 |
주제 |
자원현황 |
문화 |
영화, 영상 |
- |
축제, 행사 |
- |
|
예술(음악, 문학, 미술) |
- |
|
모임 |
개발위원회(7명), 노인회(23명), 부녀회(23명), 향우회, 양곡마을회(27명), 그루경영체(11명) |
|
종교 |
- |
|
장소 |
집 |
예전에는 초가집과 기와집이 대부분이었으나 귀농귀촌인이 증가해 개축 및 신축하는 경우가 많아 대부분 양옥집임, 마을가꾸기교육으로 집집마다 나무문패와 빨간우편함을 설치 |
풍경 |
대나무 숲이 마을을 둘러싸고 있음 |
|
길 |
양곡저수지 둘레길(3km) 공사 중 |
|
이색공간 |
독다리빨래터, 도내기샘물, 양곡저수지, 새갈골산, 큰응달, 천석군 집터, 서까골미리내 마을공방 건축 중 |
|
기관 |
- |
|
생활 |
건강, 의료 |
장평면보건지소(3km), 장흥읍 의료시설 이용 |
교육 |
장동초(3.5km), 장평중(2.8km), 고교는 장흥읍이나 외지로 진학 |
|
교통 |
마을버스 1개 노선 1일 2회 |
|
시장, 상권 |
장평시장(2.5km, 도보20분) |
|
인물 |
주민 |
김용택(목공예), 정병현(타일시공), 김효선(인무화), 정봉주(드론), 문진규(기타), 정미순, 김미자(난타, 풍물), 이기순(다둥이네) 등 |
유명인, 연구자, 학자 |
정희종(김대중대통령 때 근정포장 훈장을 받음) |
|
예술가 |
- |
|
기타 인적자원 |
이기순(마을리더, 이장), 양진호(마을법인대표) |
|
역사 |
역사·문화 |
삼세효열비, 정현섭모친열녀비 |
변화 |
양곡마을→조양2구 명칭변경 |
|
사건 |
- |
대표자원
구분 | 관련사진 | 주요내용 |
양곡저수지 | ![]() |
1965년 축조된 양곡저수지는 저수량 2만톤 내외) 영농철 저수지 이외 관정을 이용해 농업용수를 충당하고 있었으나 2019년도에 저수량을 11만톤으로 늘리는 공사를 진행하고 있음 저수지 주변으로 3km의 산책길을 조성하고, 마을공방육성사업으로 저수지 인근에 마을공방을 건축하는 등 마을 저수지를 중심으로 농촌체험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있음 |
개복숭아 | ![]() |
개복숭아는 산속에서 자생하는 야생복숭아로 모양이 예쁘지는 않지만 맛이 매우 달고 시며, 생과로 먹거나 과실주 또는 엑스를 만들어 먹음 유기산 및 알코올류, 펙틴 등 섬유소질이 풍부하여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며, 천식, 기침, 기관지염 등에 약효가 뛰어남 |
서까골 미리내(마을법인) | ![]() |
양곡마을주민 5가구(총 11명)가 모여서 출자한 마을법인으로 마을 내 일자리를 창출하고 농외소득을 올리고자 설립함 천연비누제조강사, 숲해설사, 농촌체험지도자, 목공계가 등 마을 인적자원을 활용해 농촌체험을 운영하고 마을 특산물 판매 및 가공으로 소득을 올리고자 함 |
마을 주요시설
![]() |
![]() |
양곡경로당(마을회관) | 양곡저수지(확장공사 중) |
![]() |
![]() |
도내기샘물 | 새갈골 산 |
![]() |
![]() |
대나무 숲 | 큰응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