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정보

[장평] 우산마을

본문


일반현황

■ 장흥읍에서 북동쪽으로 약 20km 거리에 있는 우산마을은 서기 1500년경 남양홍씨가 정착하여 성촌했다고 전해짐
■ 일명 홍골이라고도 하고 한창 번창했을 때는 한매미에서 홍거리까지 기와집이 즐비해 우산을 쓸 필요 없이 다녔다 하여 우산(雨傘)마을이라고 불렸다고 함
■ 본래 장흥군의 장서면의 지역으로서 그 뒷산의 모양이 소가 누워있는 형국으로 되었다고 하여 소메 또는 우산이라고 칭함
■ 해발 220m 높이에 80여 가구가 오밀조밀 모여 사는 작은 산골마을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지렁이 분변토를 활용하여 쌈 채소, 분화채소, 배추, 고추, 콩 등의 농산물을 생산하고 있으며 지렁이 생태학습 체험이라는 체험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연 생태의 소중함을 널리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지렁이가 함께하는 평정한 들녘에는 자연이 길러낸 친환경 농작물이 자라고 있으며 가마터와 십이지장굿, 한옥 등의 문화유산을 가진 아름다운 마을임
■ 광주와 가깝고 공장이 없어 물과 공기가 좋으며, 무농약 쌀, 고추, 잣, 블루베리 농사를 짓고 있으며 마을 내 김치 가공공장이 있고 표고버섯은 노동력이 부족해서 지금은 하고 있지 않음
■ 마을 내 국제조이학교는 예전 초등학교 폐교 후 개교했으며 러시아인 등 외국인들이 많다고 함
■ 우산마을은 2007년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를 시작으로 행복마을, 녹색농촌체험마을로 지정 됬으며, 아시아 최초로 인증된 슬로우시티 마을로서 도시민들이 편하게 쉬어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
■ 2019년도부터 매년 농업용수 부족에 따른 가뭄 피해를 해결하기 위해 우산저수지 조성사업을 진행하고 있어 2022년까지 사업을 마무리해 13만 톤의 안정적인 농업용수를 공급할 예정임
 

문화자원현황

분류

주제

자원현황

문화

영화, 영상

느림과생태의미학 장흥우산지렁이마을(KTV국민방송)

축제, 행사

동계 12월 12일(회갑, 칠순, 팔순, 마을지출 정산)

예술(음악, 문학, 미술)

과거 농악이 유명했다고 함

모임

부녀회(50명), 영농회, 노인회(40명), 개발위원회(11명), 동계

종교

북문교회, 안양사

장소

한옥촌으로 형성됨

풍경

수변공원(물공원), 장평천, 보호수 (100년된 느티나무)

얕은 흙담으로 조성되어 있는 마을 안길

이색공간

녹색농촌체험관, 우물(서당새암, 골목새암, 통새암), 김치가공공장, 우산저수지(조성예정)

기관

폐기물집하장

생활

건강, 의료

장평보건지소(7.7km)

교육

조이국제학교, 장평초등학교(6.9km)

교통

마을경유 버스노선 1개, 운행 횟수 5~6회

시장, 상권

장평시장 이용(7km)

인물

주민

-

유명인, 연구자, 학자

-

예술가

정광수(판소리 명인), 백우삼(농악)

기타 인적자원

유학수(동학농민군), 문형순(효부로 구수표창)

역사

역사·문화

사기터(사기 구웠던 곳), 십이지장굿

변화

2007년 살기좋은지역만들기, 행복마을, 녹색농촌체험마을, 슬로우시티 지정

사건

1950년 11월 20일 공비들이 주민 47명 학살, 가옥 7채 소각, 27일 마을 전체가 한집도 남김없이 불에 탐


대표자원

구분 관련사진 주요내용
지렁이쌈채소 07_b_01_01.jpg

- 우산마을에서는 지렁이분변토를 이용한 농법으로 싱싱하고 맛이 좋은 양질의 쌈 채소를 다량 재배하고 있음
- 쌈채소에는 비타민, 무기염류, 섬유소, 생약성분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음

조이국제학교 07_b_01_02.jpg

- 2018년도에 (구)지렁이생태체험학습장을 새롭게 단장하고 조이국제학교로 개교하여 청소년 프로그램을 진행
- 중국어, 러시아어, 영어 등 3개 국어를 활용한 프로그램과 농촌체험(생활, 텃밭, 곤충 등)을 진행


마을 주요시설

07_b_02_01.jpg 07_b_02_02.jpg
우산리회관 한옥
07_b_02_03.jpg 07_b_02_04.jpg
유산각 및 당산나무 수변공원
07_b_02_05.jpg 07_b_02_06.jpg
북문교회 조이국제학교
07_b_02_07.jpg 07_b_02_08.jpg
녹색농촌체험관 한옥펜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