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정보

[유치] 봉덕2구 (봉덕마을)

본문


일반현황

■ 자연환경 보존이 잘 되어 있는 산골마을로 봉황이 깃을 내리고 울고 갔다고 해서 봉명구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함
■ 문헌상의 기록을 보아 지금으로부터 약 300년 전 마을이 형성되어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됨
■ 봉덕2구는 새터인데 봉명, 어인, 덕리로 들어가기 전 위치한 마을로 세 마을에 비해 가장 늦게 형성되어 새터(신기)라 부름
■ 깊숙한 산간 계곡에 위치한 마을로 동쪽으로 장평면 병동리 서쪽으로는 조양리, 남쪽으로는 신풍리, 북쪽으로는 대천·운월리와 마주하고 있으며, 봉덕계곡은 동양의 3보림 중 하나인 보림사와 국보, 보물 및 지방문화재가 주변에 있어 구경거리가 많음
■ 마을이 입지한 곳이 고지대라 주위를 내려다 보면 마을 인근에 펼쳐진 계곡과 계단식 농지의 모습이 장관을 이룸
■ 탐진강 발원지라 할 수 있는 봉덕계곡 물줄기가 마을 인근에 흐르고 있으며 여름철 봉덕계곡은 물이 깨끗해서 야유회나 피서지로 북새통을 이루고 있음
■ 표고버섯, 노지 표고, 들깨를 재배하고 있음
■ 친환경농법으로 콩을 생산해 전통방식으로 청국장을 담아 판매 중이며 체험도 가능하고, 체험장 옆에서는 직접 재배한 표고버섯과 주민들이 채취한 산나물 등 구입 가능함
 

문화자원현황

분류

주제

자원현황

문화

영화, 영상

-

축제, 행사

-

예술(음악, 문학, 미술)

-

모임

부녀회 16명, 노인회 14명, 개발위원회 6명

종교

보림사

장소

70년대 지붕개량사업으로 기와지붕을 가진 집이 많음

풍경

가지산, 봉덕계곡, 봉덕천(개바위등, 생이바위)

-

이색공간

유치자연휴양림, 우산각, 비자나무숲

기관

보림사 산림욕장

생활

건강, 의료

-

교육

-

교통

마을경유 버스노선 2개, 운행 횟수 왕복 4회

시장, 상권

장흥읍(20km), 유치면(8km)시장상권 이용

인물

주민

김말년(북장구 재능보유자)

유명인, 연구자, 학자

-

예술가

-

기타 인적자원

-

역사

역사·문화

국보 제117호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155호 장흥 보림사 동승탑

변화

-

사건

6.25때 주민들이 강제이주를 당했으며, 산간계곡에 위치한 탓에 적과 아군에게 누명을 쓰고 희생당한 주민이 많음


대표자원

구분 관련사진 주요내용
봉덕계곡 08_b_01_01.jpg

- 가지산 자락 쪽에 위치한 총 15Km의 길이의 봉덕계곡은 탐진강의 원류로
- 적당한 물과 적당한 자갈, 적당한 그늘이 어우러진 캠핑도 가능한 아주 멋진 곳

보림사 08_b_01_02.jpg

- 이 사찰은 동양 3보림 (인도/중국/한국)의 하나로 우리나라에 선종이 가장 먼저 들어와 정착된 곳이기도 함
- 보림사에는 철조비로사나불(鐵造毘盧舍那佛) 등의 국보와 보물, 지방문화재가 남아있어 역사의 흐름과 우리나라의 불교 미술사를 엿볼 수 있음


마을 주요시설

08_b_02_01.jpg 08_b_02_02.jpg
마을회관 마을공동창고
08_b_02_03.jpg 08_b_02_04.jpg
봉덕천 우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