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 봉덕2구 (봉덕마을)
본문


일반현황
■ 자연환경 보존이 잘 되어 있는 산골마을로 봉황이 깃을 내리고 울고 갔다고 해서 봉명구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함
■ 문헌상의 기록을 보아 지금으로부터 약 300년 전 마을이 형성되어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됨
■ 봉덕2구는 새터인데 봉명, 어인, 덕리로 들어가기 전 위치한 마을로 세 마을에 비해 가장 늦게 형성되어 새터(신기)라 부름
■ 깊숙한 산간 계곡에 위치한 마을로 동쪽으로 장평면 병동리 서쪽으로는 조양리, 남쪽으로는 신풍리, 북쪽으로는 대천·운월리와 마주하고 있으며, 봉덕계곡은 동양의 3보림 중 하나인 보림사와 국보, 보물 및 지방문화재가 주변에 있어 구경거리가 많음
■ 마을이 입지한 곳이 고지대라 주위를 내려다 보면 마을 인근에 펼쳐진 계곡과 계단식 농지의 모습이 장관을 이룸
■ 탐진강 발원지라 할 수 있는 봉덕계곡 물줄기가 마을 인근에 흐르고 있으며 여름철 봉덕계곡은 물이 깨끗해서 야유회나 피서지로 북새통을 이루고 있음
■ 표고버섯, 노지 표고, 들깨를 재배하고 있음
■ 친환경농법으로 콩을 생산해 전통방식으로 청국장을 담아 판매 중이며 체험도 가능하고, 체험장 옆에서는 직접 재배한 표고버섯과 주민들이 채취한 산나물 등 구입 가능함
문화자원현황
분류 |
주제 |
자원현황 |
문화 |
영화, 영상 |
- |
축제, 행사 |
- |
|
예술(음악, 문학, 미술) |
- |
|
모임 |
부녀회 16명, 노인회 14명, 개발위원회 6명 |
|
종교 |
보림사 |
|
장소 |
집 |
70년대 지붕개량사업으로 기와지붕을 가진 집이 많음 |
풍경 |
가지산, 봉덕계곡, 봉덕천(개바위등, 생이바위) |
|
길 |
- |
|
이색공간 |
유치자연휴양림, 우산각, 비자나무숲 |
|
기관 |
보림사 산림욕장 |
|
생활 |
건강, 의료 |
- |
교육 |
- |
|
교통 |
마을경유 버스노선 2개, 운행 횟수 왕복 4회 |
|
시장, 상권 |
장흥읍(20km), 유치면(8km)시장상권 이용 |
|
인물 |
주민 |
김말년(북장구 재능보유자) |
유명인, 연구자, 학자 |
- |
|
예술가 |
- |
|
기타 인적자원 |
- |
|
역사 |
역사·문화 |
국보 제117호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155호 장흥 보림사 동승탑 |
변화 |
- |
|
사건 |
6.25때 주민들이 강제이주를 당했으며, 산간계곡에 위치한 탓에 적과 아군에게 누명을 쓰고 희생당한 주민이 많음 |
대표자원
구분 | 관련사진 | 주요내용 |
봉덕계곡 | ![]() |
- 가지산 자락 쪽에 위치한 총 15Km의 길이의 봉덕계곡은 탐진강의 원류로 |
보림사 | ![]() |
- 이 사찰은 동양 3보림 (인도/중국/한국)의 하나로 우리나라에 선종이 가장 먼저 들어와 정착된 곳이기도 함 |
마을 주요시설
![]() |
![]() |
마을회관 | 마을공동창고 |
![]() |
![]() |
봉덕천 | 우산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