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 신흥마을
본문


일반현황
■ 해안지대의 취락마을로써 산외동에 속해있던 마을로 1927년 172ha의 간척농지를 조성하자 급격히 인구가 늘어 1963년에 분구하여 새로 성촌된 마을이라는 뜻으로 신흥마을이라 이름이 붙여짐
■ 군청에서 남쪽으로 23km, 읍사무소에서 동쪽으로 3km지점에 위치함
■ 대덕읍의 첫 들머리 마을이며 신흥저수지는 낚시터로 이름이 나서 강태공들이 드나들며 서쪽으로는 포항저수지가 있고 북쪽으로는 천관산이 있음
■ 마을 내 초등학생 4명 중·고등학생이 6명으로 다문화가정이며, 관광객은 없지만 향우들이 연1회씩 방문하고 있음
■ 주로 벼농사를 짓고 있고, 양파, 양배추, 축산업(한우)을 통해 경제활동을 하고 있으며, 마을 사업으로 태양광사업(태양광협동조합)을 운영하고 있고 수익금으로 상수도가 안 들어와서 자금으로 이용하고 있음
문화자원현황
분류 |
주제 |
자원현황 |
문화 |
영화, 영상 |
- |
축제, 행사 |
천관산 억새제 |
|
예술(음악, 문학, 미술) |
- |
|
모임 |
부녀회(25명), 노인회(30명), 영농조합법인, 태양광협동조합 |
|
종교 |
신흥안식교회(주민 20명 정도 다니고 있음) |
|
장소 |
집 |
- |
풍경 |
마을 뒤엔 천관산, 옆은 포항저수지, 앞에는 들녘이 있음 |
|
길 |
천관산 산책로 |
|
이색공간 |
문학공원, 포항저수지, 사당나무 쉼터, 정남진수목원, 유선각, 두레박샘, 신흥구판장(추어탕집) |
|
기관 |
- |
|
생활 |
건강, 의료 |
게이트볼장 운영 |
교육 |
대덕초(2.2km), 대덕중(1.6km), 한국말산업고등학교(2.8km) |
|
교통 |
2개 노선 2시간에 1대 씩 배치, 교통이 좋음 |
|
시장, 상권 |
관산읍(6km), 대덕읍(2km) 시장상권 이용 |
|
인물 |
주민 |
김점배(사업가, 기부를 잘함) |
유명인, 연구자, 학자 |
- |
|
예술가 |
- |
|
기타 인적자원 |
- |
|
역사 |
역사·문화 |
- |
변화 |
1927년 대규모 간척사업, 1963년 산외동에서 분구 |
|
사건 |
- |
대표자원
구분 | 관련사진 | 주요내용 |
신흥구판장 | ![]() |
- 마을 조합에서 생필품을 함께 사들여 조합원인 주민들에게 싸게 파는 구판장 |
정남진 수목원 | ![]() |
- 천관사 입구에 있는 수목원으로 1986년부터 난대수종 수목을 중식, 보급하여 수목원을 조성하였고, 2013년 전라남도 난대수목 사립수목원으로 개원하여 지속적으로 수목을 증식, 보존, 보급하여 학술연구를 목적으로 한 생활속의 수목원으로 확장하고 있음 |
포항저수지 | ![]() |
- 약 250,000만 여평의 대형 간척지인 포항지는 낚시꾼들에게 유명한 곳으로 상류에는 줄풀 수초가 무성하고 전 지역에 부엽수초가 무성하며, 마을 양식장으로 이용되고 있고 새우와 붕어가 잘 잡힘 |
마을 주요시설
![]() |
![]() |
신흥마을회관 | 신흥리부녀회 |
![]() |
![]() |
유선각 | 보호수 |
![]() |
![]() |
정남진수목원 | 포항저수지 |
![]() |
![]() |
신흥교회 | 천관문학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