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정보

[용산] 묵촌마을

본문


일반현황

■ 동학농민혁명 장태장군 이방언의 고향으로 조선중기 이천이씨 유(1606~1667)가 마을 주봉인 필봉을 보고 학덕이 높은 선비가 많이 나올 것이라 하여 접정에서 이주한 후 안천석(1636~1695)이 강진 칠량에서 입향하여 성촌이 되었다고 함
■ 묵촌마을은 쇠쇠봉(140m) 낮은 자락 밑 평야지에 아담하게 자리 잡은 마을로 접정2구로써 묵촌과 청수마을로 구성되었으며 마을 뒤에 소류지를 축조하였고 여기를 발원지로 하여 흐르는 개천은 청수리를 거쳐 용강에 흐르고 이어 본류인 남상천에 합류함
■ 마을 주변에 필봉, 벼루실(碩谷), 벼루물(淸水里), 따밭(종이) 등이 있었으나 먹을 상징하는 명칭이 없어 묵방 또는 문방사우촌으로 불리우다 1895년 행정구역 조정 시 묵촌으로 개칭됨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68호인 약 2,000㎡ 넓이의 동백림은 풍수지리에 근거하여 마을의 태평성대를 위해 대나무와 소나무, 동백나무를 심었던 것이 그대로 전해져오는 곳으로 수령은 약 300년 정도이며 143그루의 동백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음
■ 전남도가 주관하는 이달의 관광지에도 선정되는 등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생육환경개선을 통해 동백숲을 보전하고 발전시켜 정남진의 여행지로 발전시킬 계획임
■ 용산면소재지와 1km거리로 인접한 편이며 주로 벼와 콩, 보리, 고추 등을 재배함
■ 경제자원으로 블루베리 조성단지, 표고버섯, 토마토, 팥, 콩, 고추, 축사, 수미진(물만 넣으면 먹거리가 되는 식품), 청태전(녹차) 등이 있음
■ 귀농 귀촌인들을 위해 1,600평 땅을 체험장으로 임대함
 

문화자원현황

분류

주제

자원현황

문화

영화, 영상

YTN 동백나무 숲 촬영

축제, 행사

콩쿨대회, 어버이날 행사, 산양보급행사

예술(음악, 문학, 미술)

-

모임

청년회, 노인회, 귀농귀촌위원회, 써래지침, 마을여행 (연 1회)

종교

-

장소

-

풍경

쇠쇠봉 낮은 자락 밑 평야지에 자리 잡은 아담한 마을

-

이색공간

동백숲(전라남도 문화재자료 268호), 이방언장군 생가, 들샘, 필봉, 닥나무 옛터

기관

용산지역아동센터

생활

건강, 의료

-

교육

용산초등학교(1km)

교통

-

시장, 상권

용산면소재지 상권이용(1km)

인물

주민

이헌시(천연화장품 전문가), 이병모(귀농귀촌 협회장), 정재철(막걸리 주조), 임정심(청태전 명인), 이복희(한문교육강사) 등

유명인, 연구자, 학자

이방언 장군, 이상계 선생(문학인)

예술가

-

기타 인적자원

-

역사

역사·문화

이조백자도요지(가마터 보존), 이방언 장군 생가 및 묘소, 드르뫼(동학훈련장) 등

변화

-

사건

-


대표자원

구분 관련사진 주요내용
장흥묵촌리 동백림 04_b_01_01.jpg

- 전라남도문화재자료 제248호로 지정되어 보호되며 장흥 묵촌리 동백림은 상록활엽수림의 분포역에 식재된 숲정이로서 하천변 숲정이 조성을 위한 전형적인 식재방법으로 바람, 물살에 버티게 하는 포합수형태의 인공림 조성으로 판단되어 가치가 있음
- 또한 동학농민전쟁시의 접주인 이방언(남도장군)을 기념하는 뜻과 마을 수호의 숲정이로서의 의미도 있음

이방언장군 생가 04_b_01_02.jpg

- 1838~1895년 조선말기 동학 접주· 농민봉기 주도자로본명은 이민석, ‘장태’를 사용하여 ‘황룡강 전투’를 지휘, 관군과 일본군에게 대승을 거뒀는데 이로 인하여 ‘장태장군’ 또는 ‘남도장군’이라는 별호를 얻었음
- 1894년 12월 ‘석대전투’에서 대패하여 체포되었으며, 다음 해 서울로 이송된 후 무죄로 석방ㅤㄷㅚㅆ으나 이후 다시 체포되어 외아들 이성호와 함께 참형당함


마을 주요시설

04_b_02_01.jpg 04_b_02_02.jpg
마을회관 우산각
04_b_02_03.jpg 04_b_02_04.jpg
장흥용산지역아동센터 묵촌제
04_b_02_05.jpg 04_b_02_06.jpg
동백림 묵촌들
04_b_02_07.jpg 04_b_02_08.jpg
이방언장군 들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