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동] 만년 2구
본문


일반현황
■ 만년2구는 마을 입구에 부산천이 흐르고, 만수앞들과 만수제가 있으며, 마을 뒤편엔 만수산이 있는 배산임수 지역임
■ 1600년대에 칠원윤씨가 입촌한 후, 인천이씨 죽산안씨 등이 입거 성촌하여 현재에 이르며, 고산 윤선도가 해배(解配)되어 고향 해남으로 가는 도중에 이 마을을 지나면서 ‘萬年大地’라 하여 만년리로 명명되었다고 전함
■ 국내에서 유일하게 안중근 의사(1879~1910)의 위패와 영정을 모신 사당 해동사(海東祠)는 독립운동가 안중근 의사를 단독 배향한 첫 사우로서 전라남도의 문화재자료 제291호로 지정되어 있음
■ 도산서원을 지었다고 전해지는 안향을 비롯 죽산안씨 문중 선조 6인의 위패를 모신 곳은 만수사(萬壽祠)가 자리하고 있으며 전라남도의 문화재자료 제71호로 지정됨
■ 과거에는 55호가 살았으나 2020년 7월 기준, 절반이 준 21호만 남아있으며, 평균연령 80세 이상으로 마을이 초고령화되었음
■ 마을 앞에는 만수들이 있고 농사용 보가 4개 세워져 있으나, 마을주민이 사용하는 농토가 적어 농사 수확량이 적은 편이며, 벼, 고추, 꿀, 표고버섯, 한우(축사 4개소), 조사료, 양봉 등으로 경제활동을 하고 있음
■ 만수산에는 소나무, 잣나무 등 잡목이 무성해 다른 나무가 잘 자리지 못하는 환경임
■ 국도 2호선이 마을 앞을 지나고 있어 과거에는 교통의 요충지였으며, 읍과 차로 15분 거리로 주민 대부분이 읍으로 병원과 시장 등을 이용하고 있음
■ 안중근 의사의 위패를 모시는 해동사로 인해 마을이 관광지화되고 있으며, 과거 장흥군 내에서도 학생들이 소풍을 많이 오던 곳임
■ 마을 입구에는 ‘안중근 의사 문화관광자원화사업’의 일환으로 교육체험관, 애국 탐방로, 메모리얼 파크 등을 조성하고 있음
■ 고려시대 유학자 안향(1243~1306)과 안원형, 안면, 안정생, 주세뭉, 안종묵을 배향하는 사당인 만수사가 해동사 옆에 지어져 있음
■ 만수산 등산로가 용두산까지 이어져 있으며, 과거 만수산에는 유독 멧돼지가 많았다고 함
■ 마을만들기사업을 통해 마을 입구에 위치한 만수제 옆쪽으로 산책로를 조성할 예정임
문화자원현황
분류 |
주제 |
자원현황 |
문화 |
영화, 영상 |
- |
축제, 행사 |
- |
|
예술(음악, 문학, 미술) |
- |
|
모임 |
부녀회, 청년회, 노인회, 마을개발위원회 |
|
종교 |
- |
|
장소 |
집 |
빈집 2가구(거의 대부분 정비완료) |
풍경 |
만수산, 당산나무 2그루(팽나무, 귀목나무) |
|
길 |
탐진강 시의길(1코스), 만수산에서 용두산까지의 등산로 |
|
이색공간 |
만수제(산책로 조성 예정), 우산각, 듬벙샘, 금굴(류목골이라고도 불림, 금을 캐던 동굴), 이씨제각, 안중근 의사 추모공원(조성 중) |
|
기관 |
- |
|
생활 |
건강, 의료 |
장흥읍소재지 의료기관, 장동면소재지 보건소 이용 |
교육 |
장흥읍소재지 교육기관 이용 |
|
교통 |
군내버스 1일 12회 운영(시간당 1대) |
|
시장, 상권 |
장흥읍이나 장동면소재지 시장 이용 |
|
인물 |
주민 |
귀농인 3가구 |
유명인, 연구자, 학자 |
유학자(안향), 해동사건립(안홍천) |
|
예술가 |
- |
|
기타 인적자원 |
- |
|
역사 |
문화재 |
해동사(전남문화재자료 제291호), 만수사(전남문화재자료 제71호) |
변화 |
만수마을 → 만년2구 |
|
사건 |
1955년 해동사 건립 |
대표자원
구분 | 관련사진 | 주요내용 |
해동사(海東祠) | ![]() ![]()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91호로 1955년 장흥의 유림 안홍천 선생이 안중근 의사의 후손이 없어 제사를 지내지 못하는 것이 안타까워 사재를 털어 사당을 건립함. 건립 당시 이승만대통령에게 '해동명월(海東明月)'이라는 친필 현판편액을 하사받았으며, 위패 봉안식에는 딸 안현생과 5촌 조카인 안춘생이 영정사진과 위패를 모시고 참석함. 장흥군은 2019년도부터 3년간 해동사 인근에 70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안중근 의사 문화관광자원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해동사를 역사, 의향, 문화의 명소로 가꾸고 청소년 교육 공간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임 |
만수사(萬壽祠) | ![]() ![]() |
고려시대 유학자 안향(1243∼1306)을 기리기 위해 후손들이 1946~1951에 지은 사당임. 안원형·안면·안정생·주세붕·안중목을 배향함. 안향은 고려시대 유학자로 고려 원종 1년(1260)에 문과에 합격한 후 교서당, 국자사업, 도첨의중찬 등 많은 벼슬을 지냈으며, 후진양성과 유학확립에 힘씀. 안원형은 밀직사, 평장사 등을 지낸 인물이며 안면은 사간원정언, 정당문학 등을 지냈고 안정생은 직제학을 지냄. 만수사, 내삼문, 강당, 외삼문, 해동사 등이 있는데 만수사는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의 건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임. 내삼문 경모문은 3칸이며 외삼문은 3칸, 직사는 5칸이다. 강당인 여경재는 1925년 지은 건물로 5칸 규모를 갖추고 있음 |
마을 주요시설
![]() |
![]() |
마을회관 | 만수제 |
![]() |
![]() |
우산각과 당산나무 (마을 앞) | 이씨 제각 (마을입구 공사 중) |
![]() |
![]() |
해동사 | 안중근의사 위패와 이승만대통령 필사(해동사 내) |
![]() |
![]() |
만수사 | 죽산안씨 비석과 제각 (만수사 뒤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