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진] 신상마을
본문


일반현황
■ 1130년경 제주 고씨가 마을 북편(빈터)에 터를 닦았으나 성촌하지 못하고 이곳으로 옮겨 살았다는 흔적으로 고초 등의 지명이 있으나 기록은 없고 구전으로 전해오고 있음
■ 1600년경 경주 김씨 홍철이 용산면에서 입촌하여 마을 이름을 잿몰이라고 지명하고 생활해오다 인천이씨, 김해김씨, 광산김씨, 수원백씨가 입촌하니 신상리로 개칭했음
■ 그 후 밀양박씨, 남양홍씨, 수성최씨가 입촌하였고 1960년 산업화 농경산업으로 관덕 농장이 조성되니 광산노씨, 평택임씨, 장수황씨가 입촌하여 농·수산업을 주업으로 생활하고 있음
■ 박정희 전 대통령이 만들어 놓은 간척지에 벼농사를 짓고 있으며, 무산 김 양식과 장흥 낙지가 주 소득원이며 갑오징어와 서대도 잡힌다고 함
■ 진서방갯제는 보름날 1번 지내는데 당산나무에서 출발해 항구로 내려온 후 이틀바위에서 제를 모시고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풍물놀이패가 다녔으나, 현재는 중요장소만 다님
■ 추후 소득원으로 갯벌체험 등을 계획 중임
문화자원현황
분류 |
주제 |
자원현황 |
문화 |
영화, 영상 |
- |
축제, 행사 |
진서방갯제 |
|
예술(음악, 문학, 미술) |
진서방 갯제 농악단 |
|
모임 |
청년회 14명, 부녀회 및 노인회는 섞여있음, 바위영어조합법인 |
|
종교 |
- |
|
장소 |
집 |
- |
풍경 |
당산목(400년 된 은행나무), 간척지와 바다가 보이는 풍경 |
|
길 |
- |
|
이색공간 |
동학헌정기념탑, 김가공공장 2개, 펜션 1개, 이틀바위 제단 |
|
기관 |
다목적복지관 |
|
생활 |
건강, 의료 |
- |
교육 |
- |
|
교통 |
마을경유 버스노선 1개, 운행 횟수 5~6회 |
|
시장, 상권 |
대덕읍 시장 |
|
인물 |
주민 |
- |
유명인, 연구자, 학자 |
김덕호, 김상동, 김영익(독립운동가) |
|
예술가 |
- |
|
기타 인적자원 |
김해 김전현 회덕농협조합장, 경주 김형규 목포지방 항만청장(국공3급), 경주 김대종 장흥군수협 조합장 |
|
역사 |
역사·문화 |
들돌, 이틀바위(진서방 갯제를 지내는 제단이 있음), 범바위(똥바위), 전몰호국용사현충비, 독립자금헌성기념탑 |
변화 |
- |
|
사건 |
회진면 명덕을 주축으로 235명의 의사들이 독립자금 모금에 헌신해 2001년 독립자금헌성유족회 결성, 2003년 기념탑이 건립됨 |
대표자원
구분 | 관련사진 | 주요내용 |
들돌 | ![]() |
들돌의 전설은 힘 좋은 메주할멈이 돌을 발견하여 귀하게 여기고 치마폭에 싸 들고 와 사장 어귀에 놓았고, 마을 청년들이 여가를 이용해 돌 앞에서 힘자랑을 하면서 이때부터 역도 운동이 시작된 것으로 본다고 함 |
이틀바위 제단 | ![]() |
- 잿몰 모래사장 선착장 입구에 있는 큰 바위로서 바위 사이에 딸각돌이 있으며 이 바위가 울면 이틀 만에 비가 온다하여 이틀바위라 하였음 |
마을 주요시설
![]() |
![]() |
경로당 | 김가공공장 |
![]() |
![]() |
다목적복지관 | 신상마을회관 |
![]() |
![]() |
마을회관 앞 쉼터 | 이틀바위 제단 |
![]() |
![]() |
당산나무 | 독립자금헌성기념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