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진] 동구마을
본문


일반현황
■ 동구마을은 1974년에 마을의 규모가 커져 자체분구를 실시하여 동·서·남구로 나누었으며, 회령진성의 동쪽에 위치하여 동구마을이라 함
■ 조선초기 광산김씨 김민경이 바다 연안에 설기하였고, 그 후 창녕성씨, 경주이씨, 김해김씨 등이 입주하였다고 전함
■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동구마을(당시 회진리)에 위치한 회령진성 부군에서 전선을 지어 왜군을 물리치는데 기여하였음
■ 마을의 뒷산을 이용 축성한 부정형 성으로 멀리 연륙 되어있는 덕도와 노력도, 대마도, 대-소대구도 등의 섬들을 바라볼 수 있음
■ 반 도시형 면소재지로 상권이 발달되어 있고 교통이 비교적 편리하며, 먹거리와 금융권, 의료, 판매상권 등 시장상권의 중심임
■ 동구·서구·남구·덕흥마을이 한 어촌계로 묶여있으며, 농·어업과 상업이 약 7:3의 비율을 가지고 있음
■ 금융기관 3개소, 의료기관 5개소, 회진면사무소, 복지회관, 파출소 등 각종 기관과 28년 역사를 지닌 회진시장이 마을에 있어, 면소재지 상권이 형성되어 있으며 21년도에는 시장정비사업이 시작됨
문화자원현황
분류 |
주제 |
자원현황 |
문화 |
영화, 영상 |
- |
축제, 행사 |
회령포문화축제, 전어축제(종료) |
|
예술(음악, 문학, 미술) |
- |
|
모임 |
청년회, 노인회, 부녀회, 어촌계, 마을번영회, 방범대, 소방대, 회진면장학회, 로타리클럽, 이장자치회, 주민자치회, 동호회(농악, 댄스, 요가, 서예, 게이트볼 등) |
|
종교 |
회진중앙교회 |
|
장소 |
집 |
회령진성쪽으로 주택가가 밀집되어 있음 |
풍경 |
바닷가 근처로 상가가 밀집되어 있음 |
|
길 |
이청준 한승원의 소설길 |
|
이색공간 |
회령진성 |
|
기관 |
회진면사무소, 복지회관, 우체국, 파출소 |
|
생활 |
건강, 의료 |
회진면 보건지소, 일반의원 3개소, 한의원 1개소 |
교육 |
바로 옆 남구마을에 회진초등학교, 회진중학교가 있음 |
|
교통 |
시외버스와 군내버스 시간당 1대씩 운영, 회진항 |
|
시장, 상권 |
회진시장, 금융기관(농협·수협·새마을금고) |
|
인물 |
주민 |
- |
유명인, 연구자, 학자 |
- |
|
예술가 |
- |
|
기타 인적자원 |
前초대회진면장(김영달), 교수(김정선), 前초등학교장 (이종선, 이영근, 이종덕), 前중학교장(이현우), 前광주지방법원장(김용근) |
|
역사 |
문화재 |
회령진성(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44호) |
변화 |
- |
|
사건 |
이순신 장군이 회령진성에서 왜군을 물리침 |
대표자원
구분 | 관련사진 | 주요내용 |
회령진성(會寧鎭城) | ![]() |
전라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44호로 지정. 성종 21년(1490) 4월에 축조된 만호진성으로 조선 초 김민경이 설치한 성곽은 1554년 명종 9년에 완공한 둘리 6km의 성으로 전라도 우수영의 수군만호가 주둔했음.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동구마을에 위치한 회령진성부근에서 전선을 건조하여 왜군을 크게 물리쳐 ‘호남은 나라의 울타리로서, 만일 호남이 없으면 나라가 없어지는 것이다.’는 의미의 약무호남시무국가(若無湖南是無國家)의 근간이 됨. 현재 남아있는 성벽은 전체의 1/10남짓임 |
회령진성 역사공원 | ![]() |
정유재란 당시 조선수군 재건에 나선 이순신 장군의 발자취를 엿볼 수 있는 곳으로 회령진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있는 비석있음, 조형물은 과거 백의종군 함성과 역사적 의의가 널리 퍼져나가 현재와 미래 가치가 증대되어 소통과 염원의 역할을 하길 기원한다고 함 |
마을 주요시설
![]() |
![]() |
동구마을회관 | 회진면사무소 |
![]() |
![]() |
회진우체국 | 회진시외버스터미널 |
![]() |
![]() |
회령진성 | 회진파출소 |
![]() |
![]() |
장흥군수협 | 천관농협 |
![]() |
![]() |
새마을금고와 로타리클럽 | 회진면 경로당 |
![]() |
![]() |
회진시장 | 청소년 문화의집(작은도서관) |
![]() |
![]() |
회진 다목적홀 | 야외공연장 (다목적홀 옆) |
![]() |
![]() |
종합복지회관 | 게이트볼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