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진] 진목마을
본문


일반현황
■ 진목마을은 참나무가 많이 나는 곳이라 진목이라고 불리웠으며, 원래는 진목과 이진목이 하나였으나 마을이 확장되어 분리됨
■ 마을의 형상은 좌청룡(노적봉) 우백호(불당골)로 마을 앞에는 안산이 책상처럼 놓여져 있어 이름난 문인이 많이 배출된다고 함
■ 마을이 산자락에 둘러싸여 외부에서는 잘 보이지 않아 임진왜란 때 마장골에서 전쟁에 사용할 군마를 길렀다고 함
■ 국내 최대의 간척지인 ‘갯나들’이 있으며, 주로 쌀농사를 짓는 곳이지만 바다가 인접해 어업을 하는 경우도 있고, 최근에는 관상용 호박재배를 하고 있음
■ 장흥에서 종교가 가장 먼저 보급된 곳으로 1905년에 지어진 진목교회가 있으며, 목사가 28명 배출됨
■ 소설가 이청준의 고향으로 생가와 묘소가 있으며, 소설길이 조성되어 있고 외지인의 방문이 많은 편임
■ 장흥에서 가장 오래된 110년 이상된 진목교회가 있으며, 목사를 28명 배출하였고, 마을 주민 대부분 교회를 다니고 있음
■ 2004년도에 생태체험마을로 지정받아 2005년도에 마을공동체 중심으로 7~8월에 못생긴 호박축제(미니단호박)를 운영하였으나, 현재는 중단됨
■ 석산에 차바위, 칼바위, 아들바위, 부엉이바위, 앞다리바위, 얼음바위, 형제바위 등 이름이 붙여진 바위가 많음
■ 말을 길렀던 마장터, 서당(서원)이 있어서 대덕면에서 배우러 올 정도였으나 다 소실되고 현재는 묘지가 들어서 있으며, 집집마다 땅을 파면 도자기가 나오기도 함
문화자원현황
분류 |
주제 |
자원현황 |
문화 |
영화, 영상 |
‘천년학’ 영화촬영 |
축제, 행사 |
못생긴호박축제(중단) |
|
예술(음악, 문학, 미술) |
임권택감독의 ‘천년학’, 이청준소설가의 ‘눈길’, ‘서편제’, ‘축제’ 등 20여 편의 소설 |
|
모임 |
노인회, 청년회, 부녀회 |
|
종교 |
진목교회 |
|
장소 |
집 |
- |
풍경 |
갯나들(국내 최대의 간척지), 500년 이상 된 보호수, 100년이상된 보리수 나무, 진목제, 소진목제 |
|
길 |
남도이순신길 조선수군재건로, 이청준소설문학길, 정남진 문학탐발길 |
|
이색공간 |
이청준 생가, 이청준 문학자리, 호박체험관 |
|
기관 |
- |
|
생활 |
건강, 의료 |
회진면소재지 내 보건소와 의료시설 이용 |
교육 |
회진면소재지에 회진초, 회진중(2km) |
|
교통 |
마을버스 1일 5회 운영 |
|
시장, 상권 |
회진시장 이용 |
|
인물 |
주민 |
120세, 97세 장수주민 |
유명인, 연구자, 학자 |
- |
|
예술가 |
소설가(이청준) |
|
기타 인적자원 |
마을출신 목사 28명 |
|
역사 |
문화재 |
- |
변화 |
2004년 생태체험마을 지정, 못생긴호박축제 운영 |
|
사건 |
- |
대표자원
구분 | 관련사진 | 주요내용 |
소설가 이청준 생가 | ![]() |
이청준은 우리나라 현대소설사에 있어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인물로, 생가는 작가의 유일한 흔적이 남아있는 공간임. 생가에서 어머니와 보낸 마지막 하룻밤의 이야기를 소재로 하여 쓴 단편소설 <눈길>을 비롯해 <남도사람>, <소리의 빛>, <선학동 나그네> 등의 소설이 장흥을 무대로 하고 있음 |
이청준 문학자리 | ![]() |
미백 이청준 작가의 묘역 앞에 꾸며진 곳으로 문학정신을 기리기 위해 고인 2주기인 2010년 동료 문인, 지인, 독자 등의 성금으로 조성됨. 가로세로 7m의 돌판 위에 넓은 너럭바위와 글 기둥이 서 있으며 돌판 위에는 이청준 선생이 직접 그린 문학지도가 있음 |
호박 | ![]() |
가을철 농한기의 수익사업으로 140여종의 씨앗을 재배하는 과정에 변종까지 생겨나 2천 평 규모의 호박넝쿨 터널을 조성하고, 수십 종의 못생긴 호박을 재배하여 7~8월경에 호박축제를 열었음. 현재는 중단됨 |
진목교회 | ![]() |
마을에 위치한 작은 교회, 장흥군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로 11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목사를 28명 배출함(2020년 기준) |
마을 주요시설
![]() |
![]() |
진목마을회관 | 경로당 |
![]() |
![]() |
호박나라체험관 | 진목교회 |
![]() |
![]() |
이청준생가 | 이청준 문학자리(묘역) |
![]() |
![]() |
소진목제 | 진목제 |